이 영화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큰 승리를 거둔 내용을 다룬 영화다. 화재로 인해 전쟁 때 사용할 배가 거의 다 타버려 없어진 위기에 처한다. 그 때 이순신 장군은 최후의 비책을 마련하여 왜란의 침략을 막아낸다.
영화 명량의 시작
1597년 정유재란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도 벌써 6년이 되었다. 계속되는 전쟁 속에서 선조는 이순신(최민식)의 세력이 커지는 것에 두려움을 갖고 이순신을 파직하고 한양으로 압송 가혹한 고문을 가하는 장면으로 영화는 시작된다. 선조는 이순신을 대신하여 원균에게 수군을 맡겼으나 칠천량에서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궤멸을 당한다. 일본 관백 히데요시는 이순신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기에 용병까지 고용해 전라도 땅을 휩쓸고 한양까지 공격하려 한다. 구루지마(류승룡)가 히데요시가 불러들인 용병 해적왕이었다. 일본에서는 구루지마의 출신이 해적이라 다른 장군들은 그를 높이 평가하지는 않고 있었다. 이순신에게 형제를 잃은 구르지마는 대단한 복수심에 차 있었으며 자기 손으로 이순신을 잡겠다 다짐했다. 이순신만 제거하면 조선은 자기 손에 들어올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한양 앞까지 왜군이 쳐들어 오자 마음이 급해진 선조는 고문으로 쇠약해진 이순신을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하여 다시 전쟁터로 복귀시켰다.
위대한 이순신 스토리의 포인트
전쟁터로 다시 돌아온 이순신에게 남은 것은 고작 12척의 배와 1척의 거북선이 전부였다. 수군은 원균의 무능한 통솔로 인해 1만 명이나 전사한 상태였다. 또한 수군 사이에서는 탈영이 유행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자 조선의 장군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뉘며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혼돈의 상태가 되었다. 이순신은 바다를 버리면 조선을 버리는 것이라는 생가에 육지에서도 힘을 보태어 주길 바랬지만 일부 장군들은 바다를 버리고 육군에 합류하여 같이 싸울 것을 바랐다. 그런 상황 속에서 구루지마는 해적다운 행동으로 조선의 죽은 병사들의 수급 병영으로 보내어 조선 병사들의 사기를 무너뜨리려는 수작을 벌였다. 이에 두려움에 떨며 탈영하는 병사를 이순신 장군은 병사들이 보는 앞에서 본보기로 처단한다. 이는 더 이상의 탈영병을 막기 위한 장군의 특단의 조치였다. 여러 가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평소 눈여겨본 지역으로 이순신 장군은 단사를 다녀온다. 이 지역은 울돌목이라는 곳으로 물살이 상당이 빠른 지형이었다. 같은 전장에서 수하로 있던 장군의 아들은 물살이 빨라 적들에게 빠르게 쳐들어 올 수 있다 하지만 장군은 다른 생각이 있는 듯 보였다. 전쟁의 부담은 아무리 용맹한 장수라도 이겨내기 힘든 것이었다. 전장에서 죽은 부하들이 나오는 꿈을 꾸고 괴로워하는 이순신 앞에 자객이 나타난다. 자객은 왜군이 보낸 것이 아니라 12척의 배로 싸우는 것이 두려웠던 조선 수군이었다. 자객은 이순신 장군의 목숨만을 노린 것이 아니라 배도 전부 불태워 버리려 했다. 겁먹은 수군 때문에 하나뿐인 거북선이 불에 타고 말았다. 이순신도 이 싸움이 승산이 있는 것인가 고민에 빠져 있을 때 일본에 보낸 첩자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한다. 내일 울돌목(명량)으로 구루지마 미치후사(류승룡)가 온다는 소식이 전달된다. 그러나 12척의 배를 일자로 서서 울돌목 좁은 수로에서 막고 서있는 작전을 들은 장군들은 승산이 없다며 반대를 하였다. 이순신은 반대하는 휘하 장수들에게 모든 병사를 진영 앞에 모이게 하였다. 병사들이 모두 모이자 장군은 병사들의 막사를 모두 불태워 버렸다. 병사들에게 장군이 연설한다. "우리는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살고자 하면 필히 죽을 것이오.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 그러니 바다에 나가 우리는 싸울 것이다."라는 말을 끝으로 장군은 이제 12척만이 남은 배를 이끌고 바다로 나간다.
위대한 승리 이순신
울돌목에 도착한 이순신 장군은 판옥선(조선수군의 배 이름)을 일자로 세워 길목을 막고 일본의 함대와 싸울 준비를 하였다. 대포도 준비하고 전투 준비를 마쳤지만 일본군의 함선은 놀라울 정도로 많았다. 일본군은 조총을 쏘며 빠른 속도로 다가오고 있었다. 그때 이순신 장군은 맨 앞에 다가오는 배들을 향해 대포들을 발포하라는 명령을 했다. 맨 앞에 오던 일본의 함선들은 대포에 맞고 울돌목의 빠른 물살 때문에 서로 엉켜서 부서지고 있었다. 이순신 장군은 우리 군사들에게 두려움이 있다면 일본군도 이순신 장군에게 해전에서 계속 패했던 두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 이 두려움을 이용하면 우리 병사들에게는 용기로 변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울돌목의 빠른 물살은 어느 쪽이 잘 이용을 하느냐가 전쟁에 승패가 달렸다. 히데요시가 구루지마를 용병으로 부른 것은 바다를 잘 알기게 이순신에게 이길 수 있다 판단해서다. 그러나 이순신은 조선의 바다 울돌목을 더 잘 알고 있었다. 물살이 세서 배가 자꾸 돌자 장군은 명령한다. 닻줄을 끊고 백병전(배위 가판 위에서 육지처럼 싸우는 것)을 준비한다. 전술을 수시로 바꿔가며 전쟁은 점점 더 치열해져 갔다. 그러자 구루지마의 배가 하나 둘 이순신 장군이 타고 있는 대장선에 붙기 시작했다. 사방으로 묶듯이 대장선을 둘러쌌다. 그야말로 치열한 싸움이 벌어지던 중 모든 포탄을 노를 젓는 아래층에 모두 모으게 지시한다. 배의 아래에서 일본군 배를 향해 대포를 집중시켰다. 일본 배들은 부서지고 밀려났으며 대장선은 에워싼 배들에게서 벗어났다. 시간은 오후로 넘어가며 물살이 바뀌기 시작한다. 전쟁이 계속되는 중에도 일본군의 저격수는 계속 이순신 장군을 노리고 있었다. 또한 구루지마는 폭약을 가득 실은 배를 이순신이 타고 있는 배를 폭파하러 보냈으나 다행히 폭파하려는 배에 조선의 군사가 포로로 잡혀 있었다. 포로는 자기의 목숨을 희생하여 폭탄이 실려있음을 알리고 폭탄이 실린 배를 폭파시킨다. 결국 구루지마는 이순신 장군에게 무릎을 꿇게 된다. 남아있는 일본의 적 함대를 이순신 장군은 조선 함대의 강한 힘을 이용해 충파(배로 배를 들이받아서 부수는 것)로 물리쳤다. 전쟁에 승리하며 영화는 끝이 나지만 이 전쟁은 아직 끝이 아니다.
영화 The Admiral Roaring Currents 2014 보고 생각한 점
우린 대한민국 사람이다. 이 영화를 보고 가슴이 뜨거워지고 웅장해짐을 모두 같은 마음으로 느낄 것이다. 우린 대한민국 사람이다. 이영화를 보고 가슴이 뜨거워지고 웅장해짐을 모두 같은 마음으로 느낄 것이다. 영화 초반에는 좀 지루한 감이 있지만 영화의 중간을 지나면서 영화 보기를 너무 잘했다는 감동이 밀려온다. 임진왜란 이순신을 주제로 드라마 영화를 보면서 항상 가슴 벅참을 느낀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국제시장 전쟁 파병 이산가족 Ode to my Father 2014 (0) | 2022.10.24 |
---|---|
SF영화 추천 아더라이프 가상현실 체험 안약 OtherLife 2017 (0) | 2022.10.24 |
국내 좀비 영화 부산행 한반도 좀비 아웃브레이크 Train to Busan 2016 (0) | 2022.10.24 |
영화 7번 방의 선물 아버지의 무한한 사랑 슬픈 스토리 Miracle in Cell No 7 2013 (0) | 2022.10.23 |
영화 신과함께 죄와 벌 망자의 변호사 Along with The Gods 2017 (0) | 2022.10.23 |
댓글